?? 이건 뭔가요.. 일본뉴스 링크 걸어 놓은건가요.. 혹시나 해서 들어가봤는데.. 역시 일본어로 뉴스가 나오네요 코리아 헤럴드 처럼 영어(기본)+@ 한국어로 풀이 된것도 있는데 이건 100% 일본어.. 히라 가나, 카타카나 ..& 한자?라고 해야하나.. 대부분이네요; 이런걸 왜올렷지.. 하는 생각입니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필아트란 이정돈 되줘야..  (0) 2011.01.28
짭퉁.  (0) 2011.01.27
오랜만에 인터넷 기사 보고 빵터지네요  (0) 2011.01.27
블로그에 위젯 넣어 돈벌기  (0) 2011.01.01
블로그에 광고 넣어 수입올리기!!  (0) 2010.12.23
출처: www.eic.kr

제1회 `IT융합 기업인상' 수상자를 배출한 코오롱글로텍(대표 박동문)은 `섬유+IT' 융합기술을 상용화한 국내 대표 섬유IT 융합 기업으로 손꼽힌다.

회사는 2006년 섬유IT 융합기술 연구를 위해 기술연구소 산하에 퓨처리서치팀을 첫 신설, 본격적인 전자섬유 개발에 나섰다. 회사는 인쇄가 가능한 전자섬유 또는 전도성 섬유 개발을 목표로 필름기반 전자재료를 섬유와 접목시켜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과 전자섬유 회로설계기술, 전자섬유와 IT기기간 커넥팅 기술 등을 집중 개발했다. 이런 끝에 회사는 2008년 세계 최초로 인쇄 전자섬유 기술을 이용한 발열성 스마트 섬유 `히텍스'(HeaTex) 개발에 성공, 그 해 히텍스를 적용한 `스마트 의류'(점퍼) 시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스마트 의류는 섬유에 디지털센서와 전자제어칩을 내장, 사람의 체온에 따라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하고 맥박까지 체크할 수 있었다. 무선 주파수 통신방식을 적용해 착용한 사람이 무선으로 의류 온도를 35∼50도까지 제어할 수 있다. 회사는 이듬해 당시 FnC코오롱(현 코오롱인더스트리 FnC부문)에 이 스마트 섬유를 납품했고, FnC코오롱은 코오롱스포츠 브랜드로 아웃도어 스마트 점퍼를 상용화해 국내 최초로 판매했다. 이어 지금까지 엘로드, 잭니클라우스, 헤드 등 여러 해외 의류브랜드 기업에 납품해 아웃도어 기능성 의류로 상품화됐다. 또 올초에는 국방부에 납품, 추운 겨울에도 끄떡없는 기능성 방한복으로 탄생하기도 했다. 이런 기능성 방한복은 의복 내 온도와 습도 조절이 가능해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고, 겨울철에 땀을 흘리고 난 뒤 발생하는 저체온증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회사는 또 2009년 발열성 스마트 섬유를 바탕으로 자동차용 온열시트를 상용화했고, 올해 기아자동차의 중형차 `K5'와 대형버스 `그랜버스'용 바이오케어 온열시트로 납품하기 시작했다. 기존 단선으로 구성된 열선 내장형 온열시트에 비해 파손에 따른 제품수명 단축과 화재 위험성이 적고, 면 전체 발열로 뛰어난 온열기능을 제공하며 원적외선까지 방출해 건강에도 이롭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회사는 약 50억원을 투자해 올초 구미에 히텍스 생산설비를 가동했고, 내년엔 천안에도 공장을 신축할 예정이다. 히텍스 수요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올해 히텍스 매출만 42억원에서 2015년 600억원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uble Space 미국 교수들이 요구하는것들  (0) 2013.06.23
용어들..  (0) 2013.05.24
FD-SO(Fully-Depleted SOI)  (0) 2011.03.23
LTE-advanced 기술이란?  (0) 2011.01.25
새해 IT 기술 · 제품 흐름, 어디로?!  (0) 2011.01.03
출처: www.eic.kr

새해에는 소셜 미디어와 소셜 비즈니스가 계속해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기능이 전자상거래 부문으로 확대되면서 IT 시장을 이끌 전망이다. 올해 대중화 토대가 마련된 클라우드 컴퓨팅과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주목받은 증강현실(AR) 기술도 실질적으로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로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100달러가 채 안 되는 저가 스마트폰부터 스마트패드(태블릿 PC)의 다양화 및 대중화, 3차원(D) 게임시장 개화 등이다.

30일 IDC·가트너·머큐리뉴스·보스턴글로브·C넷 등은 소셜커머스, 소셜커뮤니케이션 등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비즈니스가 2011년 IT업계에서 맹위를 떨칠 것으로 예상했다. 대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체 페이스북 가입자가 두 배 가까이 늘어 10억명을 돌파하고 영향력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기술=시장조사기관들은 클라우드 컴퓨팅도 대중화될 핵심 기술로 꼽았다.
IDC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IT 지출의 15%를 차지하고 전체 IT 시장 성장 속도에 비해 4~5배 빠르게 커질 것으로 봤다.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80%가 클라우드 방식으로 제공될 것이란 예측이다.

헤럴드선, IDG뉴스, 더스타닷컴 등은 내년 휴대폰 기능이 금융 부문으로 급속히 확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휴대폰에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이 본격 구현되면서 10cm 이내에서 고주파 신호를 통해 결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가까이에 있는 제품 정보가 휴대폰에 바로 전송되고 휴대폰을 신용카드처럼 활용해 접촉하지 않고 결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기술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2.3버전인 ‘진저브레드’가 탑재됐다.

안드로이드의 모바일 운용체계(OS) 시장 점유율 확대도 주목할 만하다. IT 칼럼니스트 앤드루 카메카는 “애플을 제외한 거의 모든 휴대폰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 진영에 합류하고 있다”면서 “저가형 모델이 쏟아지면서 모바일 OS 시장의 주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바일 기능 확대와 맞물려 증강현실(AR)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제품=올해 휴대폰 시장을 500달러 이상 고가 스마트폰이 견인했다면 새해는 100달러 미만 스마트폰이 대세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시장에는 메트로PCS커뮤니케이션에서 선보인 화웨이·구글 안드로이드폰이 99달러에 출시돼 있다.

보스턴글로브는 “가격 면에서 다양해지고, 요금제도 더욱 합리적으로 변할 것”이라며 “스마트폰 시장을 확대하면서 피처폰 수요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마케팅, 제품 개발이 필수”라고 말했다.

애플 ‘아이패드’가 연 스마트패드 시장은 다양성에서 소비자에게 큰 만족을 주는 한 해가 될 전망이다. 오는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가전쇼(CES)가 이를 가늠할 수 있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폰’으로 유명해진 ‘블랙베리’의 제조사 림(RIM)이 새해 초 스마트패드 플레이북을 출시한다. 디자인뿐 아니라 성능을 크게 높였다는 소문이 돌고 있어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세계 최대 PC업체 HP는 최근 인수한 팜이 개발한 OS를 탑재한 스마트패드를 준비 중이다. MS도 ‘윈도7’을 태블릿에 맞게 변형해 조만간 선보일 계획이다.

3D 게임 콘솔·기기도 2011년 게임업계를 이끌 새로운 먹을거리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포터블 게임기 ‘닌텐도DS’로만 1억3200만대를 팔아치운 닌텐도가 첫 실험을 시작한다. 닌텐도는 내년 2월 일본에서 무안경 3D 이동식 게임기 ‘3DS’ 판매를 시작한다. 미국 시장은 3월에 상륙한다.

C넷은 “3D는 기존 안경을 쓰고 즐기던 것에서 무안경으로 옮겨가는 것이 뚜렷하게 보인다”며 “닌텐도3DS는 ‘아이팟터치’ 32기가(GB) 가격과 비슷해 시장 성공 여부가 게임업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uble Space 미국 교수들이 요구하는것들  (0) 2013.06.23
용어들..  (0) 2013.05.24
FD-SO(Fully-Depleted SOI)  (0) 2011.03.23
LTE-advanced 기술이란?  (0) 2011.01.25
전자섬유 `히텍스` 개발 국내 첫 상용화  (0) 2011.01.03

리모트 컨트롤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제일 저렴한 방법은 적외선을 사용하는방법입니다.
요즘 대부분의 오디오나 비디오 장비들,또한 TV가 이러한 적외선 장비들을 사용합니다.
이러하기 때문에 LED의 발산형태의 특징이 필요하고 또 가격적인 부분에서 저렴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1.적외선(Infra-Red Light)
적외선은 실제로 normal light 의 속해있는 파장을 가진 빛입니다. 사람들은 이러한 빛을 보지는 못합니다. 왜냐면 사람의 가시광 영역을 벗어나기 때문입니다.
위의 그림이 빛의 스펙트럼입니다.
또 이건 인간의 시감도입니다.(사람이 볼수 있는 빛의 영역) 이러한 것때문에 적외선 즉 대략 950nm의 파장을 갖는 빛을 사람이 보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IR을 리모콘의 사용하는 이유로서는
1.값이 싸다,제작 하기 쉽다
2.적외선(950mn 정도의 파장)이기 때문에 리모콘 출력 LED을 보지 못한다.
 (궂이 볼필요도 없고 깜박이는걸 즐기시는분은 없다고 생각합니다.--제생각..)
3.LED의 특성이 루미네센스의 효과로 저전력, 빛의 발산으로 소형화

이렇게 되어있고~ 아까전 말을 했듯이 사람의 시각영역에 나타자지 않지만 비디오카메라로써 볼수있습니다.

웹캠이 있거나 비디오 카메라가 있으면 리모콘을 눌렀을때 LED가 깜박이는것을 볼수 있을 겁니다.
공교롭게도 우리 생활에서 많은 적외선 소스들이 있습니다.
태양은 모든 빛을 내뿜습니다 그러나 다른것들은 백열전구, 양초, 심지어 사람의 몸에서 적외선이 나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사실로 모든 열을 내는것들은 적외선을 포함합니다.

'전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rcuit] Schmitt Triger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0) 2011.06.10
[C lang]간단! 어느것이 먼저 출력될까요? (Quiz)  (0) 2011.04.22
PAL B/G Channel Table  (0) 2011.01.03
WLAN Frequencies  (0) 2011.01.03
Racetrack Memory  (0) 2010.12.28

TV
Band
CH Channel
Frequency
MHz
Picture
Carrier
MHz
Sound
Carrier
MHz
Colour
Sub Carrier
MHz

I 2 47...54 48.25 53.75 52.68
3 54...61 55.25 60.75 59.68
4 61...68 62.25 67.75 66.68

 
TV
Band
CH Channel
Frequency
MHz
Picture
Carrier
MHz
Sound
Carrier
MHz
Colour
Sub Carrier
MHz

MID
BAND
S1 104...111 105.25 110.75 109.68
S2 111...118 112.25 117.75 116.68
S3 118...125 119.25 124.75 123.68
S4 125...132 126.25 131.75 130.68
S5 132...139 133.25 138.75 137.68
S6 139...146 140.25 145.75 144.68
S7 146...153 147.25 152.75 151.68
S8 153...160 154.25 159.75 158.68
S9 160...167 161.25 166.75 165.68
S10 167...174 168.25 173.75 172.68

 
TV
Band
CH Channel
Frequency
MHz
Picture
Carrier
MHz
Sound
Carrier
MHz
Colour
Sub Carrier
MHz

III 5 174...181 175.25 180.75 179.68
6 181...188 182.25 187.75 186.68
7 188...195 189.25 194.75 193.68
8 195...202 196.25 201.75 200.68
9 202...209 203.25 208.75 207.68
10 209...216 210.25 215.75 214.68
11 216...223 217.25 222.75 221.68
12 223...230 224.25 229.75 228.68

 
TV
Band
CH Channel
Frequency
MHz
Picture
Carrier
MHz
Sound
Carrier
MHz
Colour
Sub Carrier
MHz

SUPER
BAND
S11 230...237 231.25 236.75 235.68
S12 237...244 238.25 243.75 242.68
S13 244...251 245.25 250.75 249.68
S14 251...258 252.25 257.75 256.68
S15 258...265 259.25 264.75 263.68
S16 265...272 266.25 271.75 270.68
S17 272...279 273.25 278.75 277.68
S18 279...286 280.25 285.75 284.68
S19 286...293 287.25 292.75 291.68
S20 293...300 294.25 299.75 298.68

 
TV
Band
CH Channel
Frequency
MHz
Picture
Carrier
MHz
Sound
Carrier
MHz
Colour
Sub Carrier
MHz

HYPER
BAND
S21 302...310 303.25 308.75 307.68
S22 310...318 311.25 316.75 315.68
S23 318...326 319.25 324.75 323.68
S24 326...334 327.25 332.75 331.68
S25 334...342 335.25 340.75 339.68
S26 342...350 343.25 348.75 347.68
S27 350...358 351.25 356.75 355.68
S28 358...366 359.25 364.75 363.68
S29 366...374 367.25 372.75 371.68
S30 374...382 375.25 380.75 379.68
S31 382...390 383.25 388.75 387.68
S32 390...398 391.25 396.75 395.68
S33 398...406 399.25 404.75 403.68
S34 406...414 407.25 412.75 411.68
S35 414...422 415.25 420.75 419.68
S36 422...430 423.25 428.75 427.68
S37 430...438 431.25 436.75 435.68
S38 438...446 439.25 444.75 443.68
S39 446...454 447.25 452.75 451.68
S40 454...462 455.25 460.75 459.68
S41 462...470 463.25 468.75 467.68

 
TV
Band
CH Channel
Frequency
MHz
Picture
Carrier
MHz
Sound
Carrier
MHz
Colour
Sub Carrier
MHz

IV 21 470...478 471.25 476.75 475.68
22 478...486 479.25 484.75 483.68
23 486...494 487.25 492.75 491.68
24 494...502 495.25 500.75 499.68
25 502...510 503.25 508.75 507.68
26 510...518 511.25 516.75 515.68
27 518...526 519.25 524.75 523.68
28 526...534 527.25 532.75 531.68
29 534...542 535.25 540.75 539.68
30 542...550 543.25 548.75 547.68
31 550...558 551.25 556.75 555.68
32 558...566 559.25 564.75 563.68
33 566...574 567.25 572.75 571.68
34 574...582 575.25 580.75 579.68
35 582...590 583.25 588.75 587.68
36 590...598 591.25 596.75 595.68
37 598...606 599.25 604.75 603.68

 
TV
Band
CH Channel
Frequency
MHz
Picture
Carrier
MHz
Sound
Carrier
MHz
Colour
Sub Carrier
MHz

V 38 606...614 607.25 612.75 611.68
39 614...622 615.25 620.75 619.68
40 622...630 623.25 628.75 627.68
41 630...638 631.25 636.75 635.68
42 638...646 639.25 644.75 643.68
43 646...654 647.25 652.75 651.68
44 654...662 655.25 660.75 659.68
45 662...670 663.25 668.75 667.68
46 670...678 671.25 676.75 675.68
47 678...686 679.25 684.75 683.68
48 686...694 687.25 692.75 691.68
49 694...702 695.25 700.75 699.68
50 702...710 703.25 708.75 707.68
51 710...718 711.25 716.75 715.68
52 718...726 719.25 724.75 723.68
53 726...734 727.25 732.75 731.68
54 734...742 735.25 740.75 739.68
55 742...750 743.25 748.75 747.68
56 750...758 751.25 756.75 755.68
57 758...766 759.25 764.75 763.68
58 766...774 767.25 772.75 771.68
59 774...782 775.25 780.75 779.68
60 782...790 783.25 788.75 787.68
61 790...798 791.25 796.75 795.68
62 798...806 799.25 804.75 803.68
63 806...814 807.25 812.75 811.68
64 814...822 815.25 820.75 819.68
65 822...830 823.25 828.75 827.68
66 830...838 831.25 836.75 835.68
67 838...846 839.25 844.75 843.68
68 846...854 847.25 852.75 851.68
69 854...862 855.25 860.75 859.68

 

'전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lang]간단! 어느것이 먼저 출력될까요? (Quiz)  (0) 2011.04.22
[IR Remote Control 이론]1.적외선이란.  (0) 2011.01.03
WLAN Frequencies  (0) 2011.01.03
Racetrack Memory  (0) 2010.12.28
전자부품 가볼만한곳!  (0) 2010.09.21

Standard WLAN IEEE802.11b cards transmit in the 2.4 GHz band, the so called ISM band (Industry, Science and Medical band).

Channel Frequency

1 2.412 GHz
2 2.417 GHz
3 2.422 GHz
4 2.427 GHz
5 2.432 GHz
6 2.437 GHz
7 2.442 GHz
8 2.447 GHz
9 2.452 GHz
10 2.457 GHz
11 2.462 GHz
12 2.467 GHz
13 2.472 GHz

2.4 GHz band runs from 2.4000 GHz to 2.4835 GHz.

IEEE 802.11b (11 Mb/s)
20 dB bandwith is 16 MHz

'전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 Remote Control 이론]1.적외선이란.  (0) 2011.01.03
PAL B/G Channel Table  (0) 2011.01.03
Racetrack Memory  (0) 2010.12.28
전자부품 가볼만한곳!  (0) 2010.09.21
TR데이터 쉬트 보는법 (pdf 파일,내용무)  (0) 2010.03.14

 

지금 보이시는 왼쪽 메뉴바에 보이는 광고가 애드젯이고요~ 클릭형도 있고 노출형도 있네요~

뭐 .. 바라고 돈버는것 아니지만 한.. 어학연수갔다오면 사탕값은 벌어 놓았겠죠?ㅋ

놀고있는 블로그에 하나.쯤 달아주면 나쁘지 않을듯 합니다.

사실.. 돈벌릴지 안벌릴지 모르겟네요

-다른광고이야기-
옜..날.. 펜티엄2일때 광고를 보면 광고당 100원정도 돈받아서 2만원정도 모아서 토스트기를 살려고했지만.. 그회사가 망해버렸군요;; 지금도 그회사 ..생각납니다. 휴.. 정말 힘들었는데 4개월인가 걸린듯합니다ㅋㅋ 그냥 돈주고 사버릴껄.ㅋ 근데 이건 컴퓨터에 팝업형식으로 동영상보는게 아니고 그냥 위젯으로 볼사람 보는거니깐 나쁘지 않을듯하네요^^  참고하세요~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필아트란 이정돈 되줘야..  (0) 2011.01.28
짭퉁.  (0) 2011.01.27
오랜만에 인터넷 기사 보고 빵터지네요  (0) 2011.01.27
이건 뭐지..  (0) 2011.01.10
블로그에 광고 넣어 수입올리기!!  (0) 2010.12.23

LM317은 뭐.. 다들 아실테지만 Adjustable Regulator입니다

LM317의도 종류가 있습니다~
 

네 위의 그림과 같이 패키지 타입에 따라서 부하(Load) 전류가 결정되어 집니다.

그중 전 LM317T타입을 사용해서 1.5A이고요~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계산식: 1.25*(1+R2/R1) +I*R2 = Vout 
 I=Iadj

 특징 8가지가 있습니다.
  1. 출력전압 오차가 1%까지 보장
  2. 입력 전압이 1V변동이 있을때 출력전압은  0.01%이내
  3. 부하를 걸지 않거나, FULL부하를 걸었을때 출력 전압변동은 0.3%이내
  4. 최대 1.5A까지 출력가능(K,T,S타입)
  5. 최소 1.2V까지 낮출수 있음(?)
  6. 온도에 대해 전류 제한 회로가 내장되어있어 과열되었을때 소자를 보호할수 있음
  7. 교리 리플전압을 80dB이상 제거할수 있다.
  8. 출력을 단락(쇼트)시켯을때에도 소자가 파손되지 않게 보호회로 내장


  •  3.3V 만들기!
    Stm32f103rbt6에서는 2V~3.6V가 Typical Voltage 라고 본기억이 나네요~
    그래서 3.3V만들려고합니다.

    위의 계산식을 활용해서 .. 직접해보죠~

간단하지 않습니까?ㅋ 참고로 Iadj무시해버렸습니다. 위의 회로대로 R1 R2를 배치하시면
깔끔하게 3.3V는 안나오지만(3.31......)그렇지만 2v~3.6V이므로 간단히 무시해버립니다.-_-ㅎ
앞뒤 커패시터는 왜다는지에대해선 데이터 쉬트에 나옵니다.

앞에껀(0.1uF: Needed if device is more then 6 inches from filter capacitors.)의 이유로 달았고요ㅋ
뒤에꺼(1uF: Optional- improves transient response. Output capacitors in the range of 1uF to 1000uF of aluminum or tantalum electrolyic are commonly used to provide improved out impedence and rejection of transients)


음.. 기네요. 6인치=15.24cm정도보다 짧게 하라는 말인듯하네요 (커패시터<->LM317)
다음은.. 음.. 영어실력이-_-;; 지저스.. 과도 응답효과를 개선시켯다..라는 말인듯..  과도응답이라는 말이 무슨말인지는 시스템공학(Modern Control System)을보시면 알수 있어요~ㅋ
...
의 이유로 커패시터를 답니다. 문외한이신분들은.. 그냥 다시면 됩니다.ㅋㅋ 첫술에 배부를수 있나요ㅋ

마지막으로 LM317데이터 쉬트를 올림으로 마무리 지어봅니다.
제가 말한내용보다 더많은 자료가 데이터 쉬트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다만 영어로 되어있다뿐이지 쉽게 풀이 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 노트도 많습니다.


마지막 참고!
-> 출력전압-입력전압= ΔV
ΔV가  커지면 커질수록 LM317 이놈이 열을 받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방열판을 달수잇게 나사구멍이
뚤려있습니다. 적당히.. 달아주세요~ㅋ(계산방법있었는데 까먹음GG)
또 커패시터 방향 잘보시고 내압잘보시고 커패시터 터지면 무서워요~ 조만간 커패시터 터지는 동영상 올리겠습니다. 왜? 위험하니깐요 보시면 알듯합니다.


바탕화면에다가 PPT의 그리기 기능처럼 윈도우에서 창을 띠울수 잇게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친구가 급하게 찾아 달라고 해서 급히 검색으로 찾았네요~ ^^ 이런저료는 공유 하는맛이 잇어야죠~

-5가지의 색상.
-확대/축소기능
-한방에 지우기(DOS시절의 CLS의 느낌?)
-큰붓.중붓.작은붓 3가지의 붓종류.
-ON/OFF 기능.
 -무설치
외.. 없는것 같습니다. 더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이상!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reenrecorder 컴퓨터 화면을 avi로..  (0) 2011.02.02
주파수 발생기  (0) 2011.02.01
Pads 강좌[Power Logic]  (2) 2010.03.25
Karnaugh map Minimizer  (0) 2010.03.03
윈도 화면의 움직임을 파일로 녹화/재생  (0) 2010.03.03
www.St.com 에 들어가서 Product .. macroprocessor ... stm32f103rbt6.. 에보면 나오는거죠~(현재V2.2)가 있네요

저는 usbto serial 이 잘못된건지 망고보드가 나간건지.. 미니 usb가 잘못된건지... 내일 친구집에 가서 확인을 해봐야 할상황이네요;

 
사용방법은 다들 아시리라 믿습니다. ~ 115200 baud rate 해놓고 연결하시면 될듯하네요^^  뭐 no response from the tarher, the boot loader can not be started.
Please, verify the boot mode configuration and the flash protection status,
Reset your device then try again...

->나오면 리셋 스위치 누르시고 난뒤 next하면 잘된다고 는 합니다.~ 참고하세요~

해결햇네요 저의 문제점은 망고보드가 보드측에서 TX RX GND 이라고 설명한거였네요 이렇게 입력하라는건 아니구요;; 괜히 선 짤랏네요;-_-; 그래서 결과는..
-> RX TX GND  (GND를 잘보시고 연결하시면 됩니다.)

->또.. 전 2.0버전, 2.2 버전은. 안돌아가네요;; 희한하네요; 2.1버전은 돌아 가고요 희한하네요; 그래서 2.0 ,2.1 2.2 버전 다 올려봅니다. 참고하세요~

2.2버전▼
2.1버전▼
2.0버전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