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덴서(Condenser)는 전기(정확히는 전하)를 저장하는 부품입니다.
콘덴서(Condenser)라는 이름은 전기를 압축(Condense)한다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지만 영문 표기로는
Condenser 이외에 Capacitor(캐패시터)라는 표기를 많이 사용합니다. 영문에서 Condenser에는 축전기라는
의미도 있지만 실제로는 냉매를 압축하는 응축기라는 뜻으로 더 많이 사용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콘덴서라는 단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일본에서 콘덴서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저항의 특성 및 규격
콘덴서가 전기를 저장한다는 의미는 실제로는 전기의 전하를 저장하는 것입니다. 콘덴서는 전하를 정해진 용량만큼 저장하고 다시 이 전하를 방출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직류 차단과 교류 통과, 축전지, 필터 등의 기능을 합니다. 콘덴서의 용량 단위는 F(패럿 또는 파라드: Farad)이며 이것은 영국의 물리학자인 마이클 패러데이(Faraday, Michael [1791~1867])의 이름을 딴 단위입니다.

이론적인 콘덴서의 동작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두 개의 전극 사이에는 유전체라고 불리는 물질로 절연되어 있습니다. 이때 양쪽 전극에 전압이 가해시면 두개의 전극 사이에 전하가 충전되기 시작하며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하지만 전극 사이에 있는 물질에 전하가 더 이상 충전될 수 없을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다시 두개의 전극 사이를 연결하면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회로를 따라 흐르게 됩니다. 이 과정을 콘덴서의 충전과 방전이라고 하며 콘덴서를 응용하는 모든 회로는 기본적으로 이 동작을 응용한 것입니다. 이때 콘덴서가 충전할 수 있는 전하의 양을 정전용량(F: 패럿)이라고 하며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콘덴서에 사용된 유전체의 종류, 전극의 넓이, 전극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콘덴서의 용량은 유전체의 유전율과 전극의 면적에 비례하고 전극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합니다.

:: 콘덴서의 기호
---[콘덴서의 단위와 표시 기호]
부품종류 회로 기호 알파벳 약호 단위
콘덴서 C F (Farad), ㎌, ㎊

콘덴서의 기호에는 이밖에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호는 위의 세가지 기호입니다.


심화 콘덴서의 발견
심화 전하량과 정전용량(Q=CV)
심화 유전체와 유전율
:: 콘덴서의 동작

콘덴서의 기본 동작은 전하의 충전과 방전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전기적인 동작을 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동작은 직류는 통과시키지 않고 교류만 통과시키는 동작입니다.

콘덴서는 직류가 가해지면 전하가 충전되고 다시 충전된 전압과 반대되는 방향의 회로가 연결되면 방전이 일어납니다. 만일, 이 과정을 빠른 속도로 반복하면 어떻게 될까요? 콘덴서의 양쪽 끝에는 충전과 방전으로 인한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될 것입니다. 콘덴서가 직류는 통과시키지 않고 교류만 통과 시킨다는 것은 바로 이런 동작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콘덴서는 이와 같은 기본 동작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회로를 구성하는데 사용됩니다.

  1) 정류회로
다이오드와 함께 정류회로를 구성하여 교류를 직류로 만듭니다.
  2) 지연 회로
콘덴서의 충전 시간 동안 신호를 전달하는 시간을 늦추는 지연회로에 사용합니다.
  3) Low-Pass Filter

저항과 함께 일정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Low-Pass Filter 역할을 합니다.
  4) High-Pass Filter
Low-Pass Filter와 반대로 일정한 주파수 보다 높은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가 High-Pass Filter입니다.


콘덴서는 이밖에도 미분회로, 적분회로, 결합회로, 바이패스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 컬러코드 읽기
대부분의 저항은 2개의 다리(lead)가 달려있는 원통형으로 되어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저항은 크기가 작아 숫자로 용량을 표시하기 곤란하므로 컬러코드라는 색띠로 용량을 표시합니다. 그러므로, 일부 저항을 제외한 저항의 수치를 읽으려면 반드시 아래에 설명하는 컬러코드를 이해하여야 합니다.

저항에는 저항수치를 표시하는 색대(컬러코드)가 있습니다. 이 컬러코드는 저항의 정밀도에 따라 4색대 또는 5색대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색상은 아래와 같은 값을 나타냅니다.
4색대 저항을 예로 들어 그림과 같이 색대가 노란색/보라색/빨강색/금색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1색대 - 노란색 : 4
------------------2색대 - 보라색 : 7
------------------3색대 - 빨강색 : 승수 102
------------------4색대 - 금색 : 허용오차 ±5%(J)

그러므로 이 저항은 4700Ω의 값을 가지며 허용 오차는 ±5%입니다. 그런데, 저항에서는 4700Ω 이라고 표기하지 않으며 4.7kΩ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5색대 저항의 값을 읽어보겠습니다. 5색대 저항의 경우에는 4색대보다 하나 많은 세자리가 저항 값을 나타내며 나머지 두자리가 승수와 허용오차를 표시합니다.

그림의 5색대 저항의 값을 읽어보겠습니다. 그림의 저항 색대는 빨강색/주황색/보라색/검정색/갈색의 순입니다.

------------------1색대 - 빨강색 : 2
------------------2색대 - 주황색 : 3
------------------3색대 - 보라색 : 7
------------------4색대 - 검정색 : 100
------------------5색대 - 갈색 : ±1%(F)

위의 저항은 237Ω의 값을 가지며 허용 오차는 ±1% 입니다.

저항의 컬러코드를 읽다 보면 어느쪽에서부터 색대를 읽어야 할지 혼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조밀한 색대를 왼쪽에 두고 간격이 넓은 부분을 오른쪽으로 하여 왼쪽에서부터 색대를 읽으면 되지만 저전력형의 소형 저항의 경우에는 워낙 색대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으로 판별하기 어려울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멀티미터로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저항값의 종류(저항값의 계열 분류)
저항을 사용하다 보면 저항 값들이 이상한 숫자들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47kΩ, 560Ω 등의 저항값은 있지만 정확히 500Ω의 값을 갖는 저항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저항기 생산 업체에서 생산되는 저항들이 E계열이라는 값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저항의 E계열이란 KS, JIS와 같은 여러나라의 공업규격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규격 중의 하나로 1부터 10까지의 숫자을 10의 등비급수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E3 계열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즉, E3계열의 저항이 있다면 1Ω, 2.2Ω, 4.7Ω, 10Ω, 22Ω, 47Ω, 100Ω… 과 같은 연속된 값을 갖게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E3 계열은 사용되지 않으며 가장 일반적인 2, 5, 10%의 오차를 갖는 저항은 E24계열의 저항 값을, 1%는 E96, 0.5% 이하의 오차를 갖는 경우에는 E192 계열의 저항값을 갖습니다. 오차가 적은 저항일수록 높은 계열을 사용하는 이유는 그만큼 종류가 많기 때문입니다.

[표준저항값]

저항을 생산할 때 이렇게 복잡한 숫자로 만드는 이유는 모든 수치의 저항값을 생산할 수 없으며 오차의 범위를 감안하면 연속적인 저항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 고정값 저항기(Fixed Resistor)
  1) 탄소피막 저항기 (Carbon Film Resistor)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의 저항으로 세라믹 로드(ceramic rod)에 탄소분말을 피막 형태로 입힌 후 나선형으로 홈을 파서 저항 값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만듭니다. 이후에 저항의 표면에 절연 도장을 입히고 절연 도장의 유무에 따라 비절연형, 간이절연형, 절연형 등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일반용으로 가격이 싸며 가장 많이 사용되며 고정밀도나 대전력이 아닌 모든 경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의 저항입니다. 단, 전류 잡음이 크기 때문에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금속피막형을 대신 사용하기도 합니다.

----저항 범위:1.0 Ω∼100 MΩ
----전력 범위:1/8W,1/4W,1/2W
----오차 범위:±5%, ±2%

----온도 계수:+350∼-1300ppm/℃

-------[탄소피막 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양산화에 의하여 가격저렴.
>> 사용온도 조건내에서의 저항치 분포양호.
>> 높은 저항치를 소형으로 제조.
>> 실장요구에 따라 형상선정이 가능.
>> 저항온도계수가 비교적 크다.
>> 전류잡음이 크다.

  2) 솔리드 저항기(Solid Resistor, Composition Resistor)
솔리드 저항기는 탄소 분말에 저항값 조절을 위한 혼합재를 섞고 결합제인 폴리머와 함께 그대로 성형한 형태의 저항입니다. 따라서, 저항기 전체가 저항값을 갖는 막대형 덩어리로 되어 있어 솔리드(Solid) 저항이라고 부르며 탄소 분말에 다른 물질을 혼합한다는 의미로 Carbon Composition Resistor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솔리드 저항기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립니다.


한 덩어리의 저항체로 이루어진 저항이기 때문에 정확한 정밀도가 높은 저항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소형으로 고내압, 고저항의 제품을 만들기가 용이합니다. 또한, 생산 가격이 저렴하고 고주파 특성도 양호하지만 습기에 약하고 온도계수 역시 큽니다. 요즘에는 많이 생산되고 있지 않은 저항 중의 하나입니다


---
[탄소피막 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기계적으로 견고하며 가볍고 소형이다.
>> 제조 가능한 저항치 범위가 넓다.
>> 단선불량 등의 치명적 불량이 거의 없다.
>> 절연체에 의해 보호되므로 내전압이 양호.
>> 소형저항기 중에서 Pulse 및 Surge에 강하다.
>> 고주파 특성이 양호
>> 온도·습도 의존성이 크다.
>> 구성재료의 제약으로 불연화가 곤란하다.
>> 온도계수와 전류잡음이 비교적 크다.
>> 정밀한 제품을 만들기 어렵다.

  3) 금속피막 저항기

정밀한 저항이 필요한 경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저항기로 특히 고주파 특성이 좋으므로 디지털회로에도 널리 사용됩니다. 제조 방법은 세라믹 로드에 니크롬, TiN, TaN, 니켈, 크롬 등의 합금을 진공증착, 스퍼터링등의 방법으로 필름 형태로 부착시킨 후 홈을 파서 저항 값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만듭니다.

대량생산에도 적합하고 온도특성, 전류 잡음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재료의 특성상 탄소피막 저항기에 비해 가격이 비쌉니다.

----저항 범위:20Ω∼2MΩ
----전력 범위:1/8W,1/4W,1/2W
----오차 범위:±0.5%,1%,2%
----온도 계수:±25∼±250ppm/℃


------
[금속피막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저항온도계수가 낮다.
>> 잡음이 대단히 낮다.
>> 내열성이 우수하다.
>> 경시변화가 매우 적다.
>> 고주파 특성이 양호하다.
>> 고정밀·고안정성의 저항기 제작이 가능
>> 가격이 비싸다.




  4) 산화금속피막 저항기
세라믹 로드에 금속산화물의 도전성 박막을 코팅하여 저항체를 형성하고 Cutting한 후 절연·보호도장을 하여 제조합니다. 소형으로 큰 전력용량의 저항기를 만들 수 있고 고온 안정성, 잡음, 주파수 특성도 우수한 저항입니다.

특히 열에 강하고 소형에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어 전원 회로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저항 범위:10Ω∼100kΩ
전력 범위:0.5W,1W,2W,3W
오차 범위:±2%,5%
온도 계수:±200∼±350ppm/℃


------
[산화금속피막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소형이면서 큰 전력에 견딜수 있다.
>> 실리콘계 도료의 상용으로 내열성,
불연성이 우수하다.




>> 소형이면서 큰 전력이 부하되므로 저항기의 표면온도가 높 게 상승되어 주위의 타 부품에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사용한다.
>> 단위면적당의 전력밀도가 높아 저항기의 사소한 결함이 고 장으로 연결되기 쉽다.
>> 온도계수가 금속피막저항기에 비하여 높다.(±350ppm/℃)

  5) 메탈 글래즈 저항기(Metal Glaze Resistor)

금속분말(RuO)과 유리 분말의 혼합물로 저항막을 만드는 저항기로 우수한 내습, 내열성을 갖습니다. 하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기 보다는 고온이나 습도가 높은 가혹 환경에 사용되는 기기에 주로 사용됩니다.

----[메탈글래즈 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고정체 저항기와 금속피막저항기의 중간 특성을 같는다.
>> 내습성과 내열성이 우수하다.
>> 넓은 저항치 범위를 갖는다.
>> 고가이다.


 

  6) 휴즈형 저항기(Fusible Resistor)

-
[휴즈형 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정상상태에서는 저항기로 동작하고 과전류가 흐를 때 단선상태로 되어 회로 및 기기를 보호한다
>>
저항기로서의 신뢰서이 높고 확실한 용단 특성을 갖는다.
>> 불연도장을 한 불연성 저항기이다.
>> 단선상태로 되어있을 때 높은 전압이 가해지면 Arc 방전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 Pulse 부하가 가해지는 회로에는 사용을 피한다


 

  7) 권선형 저항기 (Wire Wound Resistor)

안정성이 좋은 정밀저항이므로 주로 계측기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저항 범위:0.1Ω∼200kΩ
전력 범위:1/8W∼2W
공칭 오차:±0,.1%,1%
온도 계수:±30∼±100


----
[권선형 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고온에 견디므로 부하전력을 크게 할수있다.
>> 과부하에 강하다.
>> 온도계수가 작다.
>> 잡음이 극히 적다.
>> 저저항값이 비교적 용이하게 얻어진다.
>>
기계적으로 강한 구조이다.
>> 고저항값을 얻기가 어렵다.
>> 고저항의 경우 선경이 가늘어야 하므로 단선의 우려가 있다.
  8) 권선형 무유도 저항기 (Non Inductive Wire Wound Resistor)

권선형 저항기는 권심에 저항선을 코일처럼 감아서 만들기 때문에 코일에 의한 유도 성분이 발생합니다. 이 유도 성분은 저항과 결합하여 고주파 대한 필터로 작용하거나 하여 전달되는 신호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에는 유도성분을 제거한 무유도 저항기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탄소피막 저항기나 금속필름 저항기는 유도 성분이 있더라도 아주 미미하므로 굳이 무유도 저항기를 따로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권선형 무유도 저항기에서는 코일 형태의 저항선에 의한 유도 성분이 서로 상쇄되도록 감는 방향을 구분해서 감는 방법으로 유도성분을 제거합니다.
  9) 시멘트 저항기(Cement Resistor)와 메탈클래드 저항기(Metal Clad Resistor)
시멘트 저항기
메탈클래드 저항기

시멘트 저항기와 메탈클래드 저항기에 사용되는 내부 저항체는 주로 권선형 저항기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형태의 저항체가 삽입되기도 합니다.


------
[시멘트 저항기와 메탈클래드 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불연성이다.
>>방열특성이 우수하다.
>> 무게가 무겁다.
>>부피가 크다.
  10) 후막칩 저항기(Thick Film Resistor)
메탈클래드 저항기


회로가 점점 소형화 되고 부품의 대부분이 SMT(Surface Mount Technology) 공법에 의해 장착되면서 개발된 새로운 형태의 저항기 입니다.이러한 칩 형태의 저항기는 세라믹 기판 위에 저항체를 후막 형태로 얹어서 제조하며 지속적으로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고주파 특성이 우수하고 소형이므로 핸드폰, 컴퓨터등의 최신 기기들에는 대부분 이러한 칩 형태의 저항기가 사용됩니다.

------[후막칩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소형·박형으로 고밀도 실장이 가능하다.
>>
실장 코스트가 절감된다.
>>
고주파 특성이 양호하다.
>> 고가이다.
>> 납땜조건(온도·시간)의 관리가 필요하다.
>> 기판 Pattern 배선에 주의가 필요하다
  11) 네트워크 저항기(Network Resistor)
칩 네트워크 저항기

------
[네트워크 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직접화에 의해 조립공수를 줄이고 자동조립이 용이하다.
>> 고밀도 실장으로 실장면적이 감소한다.
>> 고가이다.
>> 납땜조건(온도·시간)의 관리가 필요하다.
>> 기판 Pattern 배선에 주의가 필요하다
  12) 박막형 칩 저항기(Thin Film Chip Resistor)
박막형 칩 저항기는 후막형 칩 저항기와 거의 같은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저항체 막의 두께가 훨씬 얇고 저항체 금속으로 Ni-Cr계, TiN, TaN 등이 주로 사용된다.
박막형 칩 저항기는 후막저항기보다 저항값 허용차와 저항온도계수특성이 정밀하고 전류 노이즈특성, 고주파특성이 우수하여 정밀 기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심화 외형으로 저항기 구분하기
:: 가변 저항기(Variable Resistor)
가변 저항기는 저항 값을 바꿀 수 있는 형태의 저항의 총칭입니다. 흔히 볼륨(Volume)이라고 부르는 단어는 신호의 양을 조절한다는 의미이지만 일반적으로 손잡이를 돌려서 저항 값을 가감하는 가변저항을 가리킵니다.
영문 표기로는 potentiometer라는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지만 우리말로 포텐셔메타 라고 말할 때는 보다 정밀한 precision potentiometer를 주로 가리킵니다.

가변저항기의 종류에는 사용하는 저항체의 종류에 따라 탄소피막형(carbon film), 서미트형(Cermet), 권선형(wire wound) 가변저항기가 있으며 이밖에도 여러가지 신소재를 이용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또한, 형태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가변저항기와 반고정 저항기, 정밀형 가변저항기(Precision Potentiometer), IC형 가변저항기 등이 있습니다.
------[저항체 재료에 따른 가변저항의 종류]
종류 영문명칭
>>탄소피막 가변저항기
>>Carbon Film Variable Resistor
>>서미트형 가변저항기
>>Cermet Variable Resistor
>>권선형 가변저항기
>>Wire Wound Variable Resistor
>>전도성 플라스틱 가변저항기
>>Conductive Plastic Variable Resistor

------[형태에 따른 가변저항의 종류]
종류 영문명칭
>>볼륨형 가변저항기
>>Panel Mountable Potentiometer
>>슬라이드 가변저항기
>>Slide Potentiometer
>>반고정 저항기
>>Trimmer Potentiometer
>>정밀형 가변저항기
>>Multi Turn Precision Potentiometer

* 위의 구분은 표준 용어가 아니라 업체에서 흔히 사용하는 관용 용어이므로 업체에 따라 표기 방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1) 탄소피막형 가변저항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가변저항기로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절연기판 소재에 탄소 피막을 입혀 저항 값을 조절하고 저항기의 한쪽 전극을 탄소피막 위를 이동시켜 저항값을 조절합니다. 저항체의 특성은 일반적인 탄소피막 저항기와 거의 같으며 전극의 이동에 회전축을 이용하는 형태와 좌우로 이동하는 형태가 있습니다. 특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용도에는 오디오용 볼륨이나 Balancer 등이 있으며 흔히 볼륨이라고 할 때는 탄소피막형 회전축 가변저항을 의미합니다.

------
[탄소피막형 가변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
>> 성능이 안정되어있다.
>> 저항온도계수가 크다.
  2) 서미트형 가변저항기
세라믹을 절연체로 cermet(ceramic과 metal을 혼합한 저항체) 저항체를 이용한 정밀 가변저항입니다. Cermet은 탄소피막에 비하여 내구성이 강하고 정밀한 저항값 조절이 가능합니다. 또한, 온도계수가 낮고, 내습성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므로 주로 아날로그 회로의 바이어스 조정, 레벨 미조정 회로와 같이 세밀한 조정이 필요한 곳에 사용합니다

------
[세미트형 가변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저항온도계수가 낮다.(±100 ∼ ±300ppm/℃)
>> 소형이다
>>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 가격이 비싸다.

  3) 권선형 가변저항기
권선형 고정 저항기와 마찬가지로 절연체 권심에 저항선을 감아 만듭니다. 권선형이므로 대전력형을 만들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주로 전류, 전력 조절용 가변저항부에 많이 사용하지만 크기가 크고 높은 저항값을 얻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유도성분이 발생하기 쉬워 고주파 회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권선형 가변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온도특성이 우수하다.(±50ppm/℃이하)
>> 고정밀 저항기가 가능하고 안정적이다.
>> 대전력형이 가능하다.
>> 절연체에 의해 보호되므로 내전압이 양호.
>>고가이다.
>> 고저항값을 얻기가 매우 어렵다. (수Ω∼수㏀)
>> 대전력형인 경우 발열이 크다.
>> 주파수가 높은 교류에 사용이 어렵다.
  4) 볼륨형 가변저항
  5) 반고정 가변저항
  6) 정밀 가변저항
정밀 가변저항(Precision Potentiometer)은 일반형 가변 저항이 1회전 또는 270°의 회전각을 갖는데 비하여 2회전 이상의 회전으로 저항값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저항을 말합니다. 정밀 가변저항에는 볼륨형과 반고정형이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형태는 반고정형입니다. 정밀 가변저항은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회로에 사용되기 때문에 Cermet 저항체 또는 권선형 저항체가 사용됩니다.
:: 서미스터와 배리스터
서미스터(Thermistor)와 배리스터(Varistor)는 저항의 일종이지만 다른 저항과는 용도가 조금 다릅니다. 이들 부품은 빛과 온도에 반응하여 저항값이 변하며 센서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1) 서미스터
표준형 NTC 서미스터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 온도가 상승되면 저항값이 감서하는 특성을 갖는 서미스터입니다. (부온도특성 서미스터)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 온도가 상승되면 저항값이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 서미스터입니다. (정온도특성 서미스터)
CTR(Critical Temperature Resister Thermistor)
- NTC와 비슷하지만 온도가 상승되면 특정의 온도 이상에서 저항값이 급격히 감소하는 서미스터입니다.

이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NTC 서미스터이며 컴퓨터의 메인보드에서부터 각종 냉온방기의 온도 센서로 널리 사용됩니다. 서미스터 소자의 온도 측정 범위는 -50℃ ~ 500℃까지 다양하지만 실제로는 실온 부근의 온도 측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보다 고온의 온도 측정에는 PT100 측온저항체와 같은, 다른 종류의 온도 센서들이 사용됩니다.

  2) 배리스터(Varistor)
원반형 Varisto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