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를 보시면 알겠지만 보쉬가 탁탁 잘 걸어주네요~(어찌보면 파울 판정이 될것도 같은...ㅋ) 

만약에 보쉬가 좀더 골밑에서 걸어줬다면?  농구 쉽게 쉽게 합시다 ~~ 그래도 3점 찬스정도는 나올수 있잖아요?

ALLEN정도면 3점 던졌겟죠?ㅋ


마냥 르브론,웨이드,코비,슈퍼스타같이 미친돌파 없이도 득점을 쉽게 할수 있답니다~ 

'Basketb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상각]..잡담...  (0) 2012.04.25
[GIF]픽앤롤..막을려다 이지샷줫네  (0) 2011.08.02
[GIF]슛이란 말이야..(손동작 & 준비동작설명)  (1) 2011.04.22
[GIF]셀틱 픽앤롤~  (0) 2011.04.19
[GIF]Crazy Boys(Audiences?)  (0) 2011.04.19
요새 안그래도 느렸던 인터넷이 .. 더욱...흑..

적어도 70kb/s 는 나왔는데 이제 이것조차 나오질 않네요~ 흑. .ㅠ 필리핀도 언른 스마트해질려면

인터넷을 개선해!!ㅠ 흑.. 덕분에 NBA 자료 받는데 하루.. or 이틀,.. 삼일.. 걸리네요ㅠ 가는세월~ 



#include <stdio.h>
#include <stdint.h>


void main(){

uint32_t i=0,l = 0;
int j,k;

for(j=0;j<10;j++){

if((i++ & 0x1) == 0x0)
 printf("A:내가먼저 \n");
else
printf("B:내가 더먼저 \n");
}

}





 

'전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rcuits]온습도 검출회로  (0) 2011.06.10
[Circuit] Schmitt Triger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0) 2011.06.10
[IR Remote Control 이론]1.적외선이란.  (0) 2011.01.03
PAL B/G Channel Table  (0) 2011.01.03
WLAN Frequencies  (0) 2011.01.03

NOTICE※ 아래 내용은 슛폼의 정석을 나타 내주고 있습니다.
모든사람이 그렇듯 체형이 다 같을수는 없습니다 이말은 즉슨, 정석슛폼의 자세가 자기자신의 최고 슛폼이 될수 없다는거죠~ 정석슛폼에서 자기몸 신체적 특징에 따라 바뀔수있지만 밑의 공식은 지켜주시면서 슛폼을 잡는것으로 말을 풀어가도록 하겠습니다.~


   <Figure1.공잡는방법>   
 위의 GIF영상과 같이 릴렉스하게 잡아주시고,
손가락을 너무많이 벌리거나 너무많이 좀혀서 공잡는건 삼가하시는게 좋습니다.

 


<Figure2.어느쪽 눈이 진짜눈?ㅋ>
뭐라고 말을 해야 할지 몰라서 그냥 적었네요ㅋ
군대에서 사격을할때 자기가 주로쓰는눈(?)이 있죠? 난 왼쪽눈이다.. 난 오른쪽 눈이다.
그런거 확인해보려는 방법입니다.
 

1.양손으로 그림과 같이 원을 그립니다.

2. 양쪽눈으로 어떤 사물을 그원안에 들어오도록 합니다

      (ex 음.. 전 티비위에있는 저금통을 타겟으로 잡고 봤어요 원안에 저금통이 보이네요)

3. 손은고정시키되 양쪽눈을 번갈아 감았다 떠보면서 어느쪽눈으로 사물이 보이나요?

4.저요? 저는 왼쪽눈이네요 그래요 ..근데 이거 하는건가요??알아서 뭐하는건가요?


다음GIF로 보시죠~ 

 
 


<Figure3. 슛 준비동작_오른손잡이&오른눈>
이것 때문에 눈을 알아보라고 한겁니다.
 
오른손잡이의 오른눈이라면->위의 영상처럼 조금 오른쪽에 있죠.
오른손잡이의 왼쪽눈이라면-> Figure4의 영상처럼 가운데있고요~


<Figure4. 슛 준비동작_오른손잡이&왼쪽눈>
 

<Figure5. 공올리는법>
거참 용어? 허접하네요 ㅋㅋ 죄송합니다ㅋㅋㅋ

1.Sooting Elbow또한 90도유지하는거

2.위동작중 양쪽팔굼치가 너무 벌어지지 않는가 보고요

3.또 손등과 팔둑과 90도 유지하는거

4.볼은 명치~가슴쪽에 위치해야하고

5.슛 포켓안에서 언제든지 드리블이나 패스할수있어야고이렇다네요


거울보고 연습하기거나 요즘 동영상 찍을수 있는 스맛폰도 많은데

혼자있을때 찍어보세요~ 그리고 분석하세요~


 

<Figure6. 슛팅 손가락>
검지(엄지엎에) 중지(나쁜손가락 :-) 으로 던지라고 설명하네요~
 
<Figure7. 잘못된 습관>
이게 뭔영상인지 보기만 해도 알수있을꺼에요~ 



이정도하고..저는 이만 밥먹으러 가보겠습니다~ 안뇽
(필리핀인데..인터넷느려요.ㅠ 인터넷느려서 한번에 안올라갈수도잇어요ㅠ) 

_t는 구조체에 붙이는 거라기 보다는 user-defined type에 붙이는거죠.

uint8_t, uint32_t등은 stdint.h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platform마다 datatype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portability를 지원하기 위해서

 uint8_t,uint32_t등이 있습니다.

_t 같은 data type을 전문 용어로 Primitive System Data Type 라고 불러요...

정수 비트 길이와 바이트가 문제가 될 때 char 또는 short, int, long, long long 같은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 길이 데이터 형식을 이용한다. 

C 언어의 표준으로 규정되어 있는 부호 및 부호 없는 고정 길이 정수는 위와 같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ISO가 개발한 C 언어 표준 "ISO / IEC 9899"에서는 char 또는 short, int, long, long long 같은 데이터 형식의 길이(비트 길이)에 대한 처리 계에 마다 정의하는 것이 허용되며 이식성 문제를 일으킨다. 


1999년에 개정된 "ISO / IEC 9899:1999"에서도 이 문제의 잠재적인 원인은 해결되지 않았지만 표 1에 표시한 비트 길이를 고유하게 정의한 데이터 형식이 추가되었다. 이 새로운 형식은 "stdint.h"라는 헤더 파일에 정의되어있다.



한마디로 32비트와 64비트의 데이터 길이의 변화에 따른 버그,에러를 막기 위해서 define해서 사용하는거~ 리눅스, 임베디드 계열에서는 많이 사용한단다. 




출처:http://kldp.org/node/3270

워낙 셀틱을 좋아 하다보니.. 셀틱은 다른팀보다 픽앤롤을 많이하네요~ ㅋ


요즘  NBA를 보는 재미에 빠졋네요~  시청중... 잠시 쉬는 부분은 Skip했는데 이것보니깐 스킵 못하겟네요~ ㅋㅋㅋㅋ

저혼자만 웃긴건지-_-ㅋ;ㅋ 왼쪽 보라색  남자 애 보세요~ㅋ 


+ Recent posts